여성 국극을 소재로 최근 방영 중인 sbs 드라마 '정년이'는 1950년대를 배경으로 여성들만의 국극단이 전성기를 맞이했던 시기를 재현하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실존 인물 임춘앵을 모티브로 하여, 당시 남장을 하고 남성 역할을 소화했던 여성 배우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국극이란?
국극은 한국 전통 예술의 한 장르로, 노래와 연극이 결합된 공연입니다. 판소리에서 발전한 창극의 형태로, 국악을 바탕으로 극을 풀어내며, 한국적 서사와 정서를 표현합니다. 특히, 국극은 해방 이후 여성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여성 국극이라는 독특한 장르로 자리 잡았습니다. 여성들이 남장을 하고 남성 역할을 연기하는 여성 국극은 당시 사회적 파격적이었으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오늘날의 국극은 주로 여성 창극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래는 혼성 창극을 포함했으나, 1950년대 이후 여성 국극단의 성공으로 인해, 국극이 여성들만의 무대라는 인식이 강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여성들이 자신들만의 예술적 무대를 개척하며 얻은 결과였습니다.
드라마 '정년이" 실존인물은 누구?
최근 방연 중인 sbs 드라마 '정년이'는 1950년대 여성 국극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정년이는 남장을 한 여성 배우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했던 여성 국극단을 배경으로, 주인공 정년이가 자신의 재능을 꽃피우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실존 인물인 임춘앵을 모티브로 한 강소복(라미란 분)을 통해, 여성 국극의 전성기와 그 뒷이야기를 담아내고 있습니다.
임춘앵은 한국 여성 국극을 이끌었떤 대표적인 인물로, 여성국악동호회와 여성국극동지사를 창설하며 여성 국악인들의 자립을 이끌었습니다. 이 여성 국극은 단순한 극이 아닌, 여성들이 사회적 위치를 확장하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었습니다.
여성 국극은 왜 몰락했나?
여성 국극은 1950년대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수많은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특히, <해님과 달님>과 같은 공연은 대성공을 거두며 여성 국극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그러나 여성 국극의 인기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수많은 여성 국극단이 생거냐 경쟁이 심해졌고, 이로 인해 무대 퀄리티가 하락하며 대중들의 외면을 받게 되었습니다.
또한, 영화와 tv의 등장은 여성 국극의 인기를 급격히 하락시켰습니다. 전통 극이었던 여성 국극은 대중성은 있었으나, 새로운 매체들의 발전 속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쇠퇴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여성 국극단의 리더였던 임춘앵의 개인사와 함께 여성 국극은 빠르게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여성 국극의 대표 인물 임춘앵
임춘앵은 여성 국극의 상징적인 인물입니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판소리와 국악을 익히며, 18세에 데뷔하여 조선창극단에서 활동했습니다. 해방 이후, 남성 중심의 창극에서 소외된 여성 국악인들을 모아 여성국악동호회를 창설하고, 여성들만의 무대를 개척했습니다. 임춘앵은 다양한 연기와 춤, 무용을 선보이며 국극의 독특한 스타일을 만들었고,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사랑받았습니다.
그라나 여성 국극의 쇠퇴와 함계, 임춘앵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남편의 사망과 여성 국극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점차 무대에서 멀어졌고, 1975년 52세의 나이로 사망하며 그녀의 이야기는 막을 내렸습니다.
* 끝사랑 이범천 논란이 궁금하시다면